
디자인 모드로 해도되지만 저는 가장 기본이되는 텍스트 모드로 xml 코드를 작성을 하겠습니다. 코드로 xml을 만들어 봐야지 디자인 모드가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알수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런 화면이 처음에 나오고 만약 visible true 라는 버튼을 클릭할시에 이렇게되어지는 컴포넌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자 처음에 액티비티 파일 Lab3_3Activity 라는 파일을 만들어 주시고 그러면 res하위 폴더에 layout에 activity_lab3_3.xml 자동으로 만들어져 있을거에요 그파일코드를 이렇게 만들어줍니다. 저기서보시면 각각의 id 값이 있고 textview부분을 보시면 visibility에 "invisible"이라고 속성을 정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textview는 보이지가 않습니다...

앱 개발자 관점에서 플랫폼의 아키텍처를 자세히 이해하기나 응용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앱이 어떤 환경에서 수행되는지를 조금 아는 것도 좋을 거 같아서 이 부분을 조금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ㅎㅎ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리눅스 커널 기반이라고합니다. 여기서 HAL은 자바 API 플레임 워크에 하드웨어 가능을 이용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자바 API 플레임 워크에서 하드웨어 기기를 이용하기 위한 코드가 실행되면 내부적으로 HAL의 라이브러리 모듈이 로딩되어서 처리를 한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ART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그위에 일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이용할 수있는 자바 API 플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대부분 앱 개발자들은 이 자바 AP..
이번에는 안드로이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리고 무슨 특징이 있는지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뭐든지 어떻게 돌아가고 무슨 특징이 있는지 잘 잡아야지만 그것에 대해서 공부를 할 때 덜 헷갈리더군요 ㅎㅎ 안드로이드의 특징입니다. 안드로이드는 공개 운영체제인 리눅스 기반이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자바 와 코틀린을 이용해 개발합니다. 운영체제의 핵심 코드,라이브러리 코드,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탑재된 구글에서 만든 앱 코드 등 대부분 코드가 오픈되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폰을 여러 제조업체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만든 앱은 구글 play 스토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평등하다는 사상으로 스마트폰에 기본 탑재된 앱과 ..